DB Replication을 구성한 이유

DB Replication을 구성한 이유

2021, Oct 03    

안녕하세요, 다니입니다. 🌻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DB Replication을 적용하는 경험을 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를 활용한 이유를 간단하게 정리하려 합니다.


DB 기존 구조

현재는 사용자 수가 적어 WAS 1대, DB 1대로 인프라를 구축했습니다.
지금 당장은 서버에 문제가 생길 정도의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아 DB를 1대만 둬도 괜찮았습니다.

한편, DB를 1대만 두면 단일 장애점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DB를 확장해야 하나 고민하던 찰나, 팀의 기대치만큼 서버가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는지 스트레스 테스트를 진행하고 의사결정을 하기로 했습니다.


성능 테스트

목표값

  • Throughput
    • 17 ~ 50회

설정값

  • DB 데이터
    • User - 20만 건
    • Post - 20만 건
    • Comment - 20만 건
  • VUser
    • 읽기 연산 - 152명
    • 쓰기 연산 - 152명
  • 방식
    • 읽기 연산과 쓰기 연산을 30분간 동시 수행

읽기 연산

평균 TPS는 11.8, 최대 TPS는 22.5로 나왔습니다.

쓰기 연산

평균 TPS는 11.6, 최대 TPS는 22로 나왔습니다.

결론

예상보다 TPS가 낮게 나타나는 걸 확인했습니다.
따라서 DB를 Scale up 또는 Scale out하여 성능을 높이기로 했는데, 프로젝트 상황을 고려하면 Scale up은 불가능해 Scale out을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DB 확장 방법

DB를 Scale out하는 방법은 Clustering과 Replication이 있습니다.
Sharding도 Scale out을 하는 게 아닌가? 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Sharding은 데이터 조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기술입니다.
Clustering과 Replication은 각 서버가 동일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반면, Sharding은 각 서버가 서로 다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여기서는 Clustering과 Replication을 중심으로 비교하고 결론을 내리겠습니다.


Clustering

Clustering은 DB 서버를 2대 이상, DB 스토리지를 1대로 구성하는 형태입니다.

그림처럼 DB 서버 2대를 모두 Active 상태로 운영하면, DB 서버 1대가 죽더라도 DB 서버 1대는 살아있어 서비스는 정상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또한 DB 서버를 여러 대로 두면, 트래픽을 분산하여 감당하게 되어 CPU와 Memory에 대한 부하가 적어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DB 서버들이 DB 스토리지를 공유하기 때문에 DB 스토리지에 병목이 생기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DB 서버 2대 중 1대를 Stand-by 상태로 두어 단점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Stand-by 상태의 서버는 Active 상태의 서버에 문제가 생겼을 때, Fail Over를 통해 상호 전환되어 장애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DB 스토리지에 대한 병목 현상도 해결됩니다.

그렇지만, Fail Over가 이뤄지는 시간 동안은 영업 손실이 필연적으로 발생합니다.
또 DB 서버 비용은 이전과 동일하나, 가용률은 이전에 비해 대략 1/2로 줄어드는 단점도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Clustering은 DB 스토리지를 1대만 사용하기 때문에 DB 스토리지가 단일 장애점이 될 수 있습니다.
DB 스토리지에 문제가 발생하면, 데이터를 복구할 수 없는 치명타가 생깁니다.


Replication

Replication은 각 DB 서버가 각자 DB 스토리지를 갖고 있는 형태입니다.

사용자가 Master DB에 SELECT/INSERT/UPDATE/DELETE을 하면, Master DB는 Slave DB에 데이터를 복제합니다.
이렇게 하면, DB 스토리지 단일 장애점을 해소하여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Master DB만 일을 하고 Slave DB는 놀게 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Master DB에 INSERT/UPDATE/DELETE를 하고, Slave DB에 SELECT를 하는 방식으로 각각 DB에 트래픽을 분산할 수 있습니다.


결론

Clustering은 DB 스토리지를 1대로 구성한다는 부분에서 잘못하면 큰 문제로 이어질 것 같았습니다.
따라서 Replication을 선택하는 게 안전하고 올바르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Replication을 적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때, Master DB 1대에 Slave DB는 몇 개로 둬야 할지 고민하게 됐습니다.
SNS 특성상 읽기 연산이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Slave DB를 1대로 두는 것보다 2대 이상 두는 것이 나을 거라 판단했습니다.

인프라 비용을 생각하면 Slave DB를 무작정 많이 두는 건 옳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Slave DB를 우선 2대로 두고, 나중에 더 많은 트래픽이 발생하면 Slave DB의 개수를 늘리기로 했습니다.


DB Replication 이후 구조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Master DB 1대와 Slave DB 2대로 구성하게 됐습니다.

성능 테스트

목표값

  • Throughput
    • 17 ~ 50회

설정값

  • DB 데이터
    • User - 20만 건
    • Post - 20만 건
    • Comment - 20만 건
  • VUser
    • 읽기 연산 - 152명
    • 쓰기 연산 - 152명
  • 방식
    • 읽기 연산과 쓰기 연산을 30분간 동시 수행

읽기 연산

평균 TPS는 40.1, 최대 TPS는 62로 나왔습니다.

쓰기 연산

평균 TPS는 85.9, 최대 TPS는 121로 나왔습니다.

결론

Replication을 설정하니 TPS가 기대치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DB를 Scale out하는 게 맞는 걸까? 라는 의구심이 있었는데, 적절했다는 확신을 얻게 됐습니다.

한편 읽기 연산에서 TPS가 점진적으로 하락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쓰기 작업이 누적되어 데이터 개수가 늘어나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측됩니다.


마무리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지점은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이 경험에서는 DB 확장을 통해 성능을 조금 더 좋게 만들 수 있었습니다.


References